우리나라에서도 경주에서 지진이 크게 한번 발생하면서... 소방관계법령의 개정에 따라 소방시설의 내진설계와 시공이 법적 의무사항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UL/FM이라는 외국기술에 많이 의존하고 있었는데요. 근래에 KFI(한국소방내진기준)의 인증이 생기며 기술력의 향상과 한국실정에 적합한 내진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2019년 한국건축기계설비전시회에 참여해서 정말 깜짝놀랐는데요. 생각했던것보다 훨씬 많은 내진제조업체들이 기존에 할거같던 업체들외에도 정말 많이 있었습니다.
자 그럼 간단하게 내진자재란 어떤것들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사진출처: 성화내진-전착볼트 카다록 발췌>
우선 위그림은 입상관용 4방향 흔들림방지 버팀대입니다. 유볼트타입이구요.
위에서본다면 이런식으로 보여지겠죠. 입상관의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자재입니다.
위사진은 횡종방향 겸용으로 보이는 흔들림방지 버팀대입니다.
우선 크게 입상,수평,횡,종,가지배관 버팀대 정도로 거의 모든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생산되는 큰틀이라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내진자재는 일반 배관재 피팅류(부속들,ex)티,레듀샤,캡,엘보 등)과 같이 똑같이 생기지않았습니다. KFI자체가 성능인증이기 때문이겠죠? 업체별로 모두 다 개성있는 디자인으로 출시되고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위 사진은 성화제품의 사진입니다.
성화계열사가 아무래도 파이트서포트쪽으론 브랜드파워가 좀 있지않나 생각되서 예로 들어봤습니다 ^^;;
제품에 관해 간단한 설명은 이정도로 하구요.. 이제 업무상 내진자재의 특징에 관해 간단하게 써보려합니다.
간단하게 큰틀로 설명하자면,,
"내진자재는 일반 KS제품들과 다르게 구조계산을 통해 설계를 한후 물량산출이 나와야되며, 추후에 관할 소방서에 그 계산값등의 증빙자료를 제출하여 필증을 받아야됩니다. 그래서 보통 견적을하더라도 메이커,품목,규격,수량으로만 견적 및 출고가 불가하며 도면을 받아 기본적인 내진설계를 하여야합니다. "
*여기서 잠깐 내진설계는 누가하나요? ..
내진설계는 제조업체나 그 제조업체의 대리점(판매점)에서 보통 하게되는데 ...
거의 대부분의 구매처들은 "내진설계에 대해 전문적인 실무능력(사용하는 제품의 하중값을 계산하는 작업 등)"을 현실적으로 갖출수 없기때문에 판매처에서는 많이팔기위해 (그러진 않겠지만) 살짝 수량을 오버해서 물량산출을 할수가 있습니다.
요즘 배관재들도 업그레이드가 되어갑니다. 수요가없어 단종되는 제품들도있고 새로 개발되어 잘팔리는 신제품들도있구요..
일을 하면서도 끝도 없이 적응하고 배워가며 계속해서 공부를 안하면 업무자체가 안될정도로 요 근래 2~3년 사이에 많은 배관자재들이 없어지고 생겼는데요..
오늘은 저도 리마인드할겸 저희 회사(일반 설비 배관자재 유통 및 제조업)에서 취급하는 품목들을 한눈에 보기쉽게 강관,스텐관,동관류로 나눠보려합니다.
흑관은 검은색 백관은 은색으로 보여집니다.
1. 강관류 강관류에는 위의 사진과같이 파이프가있고, 강관들을 서로이어주는 피팅류가있습니다. 파이프들을 이어주다보면 여러가지 형태의 피팅들이필요한데요. 피팅들의 종류에는 엘보,티,레듀샤,캡,크로싱티,레듀싱티,레듀싱엘보 등 필요에따라 여러가지 모습으로 생산되고있습니다. 또한 이어주는 방법에따라 용접부속,무용접부속,나사부속 등으로 나뉘어지겠네요. 강관류는 주로 공업용(수도용의 반대)으로 마시지 않는 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시간이지나면 녹이생길수있고 최대한 녹이 안생기게끔 아연도금을 합니다. 아연도금한 재질 뿐만아니라 일반 SPP,SPP아연도금,A105 등 여러가지 재질들도 현장상황에 맞게 사용하고 있으며 후렌지는 보통 SS400 철후렌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텐은 불투명한 회색으로 보여집니다.
2. 스텐류 스텐류에도 강관류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많은 형태의 피팅들이있습니다. 스텐은 주로 수도용(공업용의 반대)으로 음용수라고하죠 마실수 있는 급수라인에 많이 사용합니다. 시간이 지나도 녹이 발생하지않고 변질되지않는 스텐을 사용하죠. 강관에비해 2~3배이상 비쌉니다.. 스텐류에는 피팅중에서도 프레스접합, 원터치접합, 후크접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하기 편한피팅들이 많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습니다. 후렌지는 보통 STS304(판)후렌지나 SSC13(주물)후렌지를 많이사용합니다. 판에비해 주물이 싸기 때문에 현장에서 특별히 판을 요구하지않는이상 주물로 많이 쓰는 편이네요.
3. 동관류 동관류에도 위 강관과 스텐류와 마찬가지로 많은 형태의 피팅들이있습니다. 동관은 내열성에 많이 사용되며 이음매없이 긴관이 필요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후렌지는 보통 절연후렌지를 사용합니다.
강관류,스텐관류,동관류로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엔 많은업체들이 파이프, 피팅, 후렌지 등 재질별로 제조하고있는데요 업무를 하면서 업체별 장단점을 파악하고 고객이 원하는 규격 및 인증을 정확히 파악해서 제품을 상담 견적하는게 제 일상 업무라고 소개할 수 있겠네요.
------------------------------
쓰다보니 너무 길어질꺼 같고 아는범위에서만 대충 적어봤는데... 너무 아는게없네요... 공부를 한건지 안한건지 ...